전체 글

최선을 다하자
[1. OAuth란]OAuth("Open Authorization")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,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.-위키백과 OAuth는 각 회사들의 파편화된 인증 방식(구글의 AuthSub, AOL의 OpenAuth, 야후의 BBAuth, 아마존의 웹서비스 API 등)을 한데 모아 표준화한 것으로, 이를 사용하면 이 인증을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끼리는 별도의 추가 인증 없이 인증 내용을 사용할 수 있다.  따라서 우리는 OAuth를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자체적인 로그인 및 사용자 관리 기능을 구현할 필요 없이 다른 회사의 로그인 인증 정보만..
[1.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][1-1. URL]URL(Uniform Resource Locater)은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, 이미지, 비디오 등 리소스의 위치를 가리키는 문자열이다.다음과 같은 표현 방식을 사용한다.scheme://:@:/ scheme: 자원에 접근할 방법을 정의해 둔 프로토콜 이름을 입력받는다.user, password: 사용자의 정보를 전달해 서버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데 사용하며,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.host: 서버의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를 받는다.도메인 이름을 입력받으면 DNS 조회를 통해 도메인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.port: 서버가 대기하고 있는 논리적 주소이다.웹 서버는 일반적으로 80(http) 혹은 443(..
[0. React Query란]TanStack Query (FKA React Query) is often described as the missing data-fetching library for web applications, but in more technical terms, it makes fetching, caching, synchronizing and updating server state in your web applications a breeze. 리액트 어플리케이션에서 fetching, caching, synchronizing, updating server state를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이다. 이를 사용해 원래 fetch 함수를 선언하고, 이를 저장할 상태를 선언하고, useEffect를 ..
파란의 이야기
하루하루 꾸준히